본문 바로가기
Infra

Infra 운영 따라잡기 5주차

by yongPro 2021. 11. 15.
반응형

1. 단일 비트 에러 vs 다중 비트 에러 차이 및 해결 방법(주요 제조사별 가이드)

단일 비트 에러(Single-bit Error)

- 데이터 단위 중 하나의 비트만 변경하는 오류

 

다중 비트 에러(Multiplt-bit Error)

- 데이터 단위 중 두개 이상의 비연속적인 비트를 변경하는 오류

 

해결방법

패리티 비트 검사

- 전송하는 데이터마다 패리티 비트를 하나씩 추가하여 홀수 또는 짝수 검사 방법으로 오류 검출

- 7비트 전송 시 1비트를 추가로 전송하여 수신 측에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오류 검출할 수 있게 하는 방식

- 1의 개수가 홀수/짝수가 되도록 패리티 비트를 정한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 : 순환중복검사)

- 패리티 검사의 한계를 채워주기 위해 나온 검출 방식

-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데이터 뒤에 확장 데이터를 덧붙여 보내는 방식

송신부

- CRC 발생 코드의 최고 차수만큼 기존 데이터 뒤, 확장데이터에 0을 붙인다.

- 기존데이터 + 확장데이터를 CRC 코드로 modulo-2 연산을 이용하여 나눈다.

- 나머지가 0이면 확장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

- 나머지가 0이 아니면 기존 데이터에 나머지를 붙여서 전송

수신부

- 수신된 코드를 동일한 CRC 발생 코드로 나눈다

- 나머지가 0이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것.

 

 

Checksum

-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이나 시간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방법

송신부

- 모든 byte 데이터를 더한다

- 가장 앞의 4bit(캐리니블)를 버린다.

- 2의 보수를 취해서 체크섬을 만든다.

수신부

- 모든 byte데이터와 체크섬을 더한다.

- 가장 앞의 4bit(캐리니블)를 버린다.

- 0x00이 나오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

 

해밍코드(Hamming Code)

- 하나의 데이터 단위에 대해 충분한 패리티 비트를 추가해 오류를 검출/수정

 

송신부

2^p >= p + n + 1 # (p:추가할 패리티 비트 수, n: 데이터의 비트 수)

위의 식에 만족하는 최소값 p를 구한다.

 

2^(k-1) 번째 자리마다 자신의 범위에 대한 Even/Odd Parity를 가지는 패리티 비트 추가

 

수신부

- 패리티 비트마다 유효성 검사 실행

- p1부터 패리티 비트에 오류가 없으면0, 있으면 1을 기록

- 기록을 10진수로 변환한 수가 오류가 발생된 자리수를 나타낸다.

 

 

 

2. NVMe vs SCSI vs SATA 타입 비교 분석(실제 해당 방식으로 사용 중인 대표적인 디스크 모델 소개도 같이)

NVMe

 

비휘발성 메모리 NVMe는 SSM(Solid-State Memory)을 위해 고안된 새로운 전송 프로토콜

PCle소켓을 사용하여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CPU사이에서 통신

수행하는 입력/출력 작업은 속도가 SATA 에 비해 더욱 빠르고, 더 많은 양의 데이터전송, 완료속도가 빠르다.

NVMe 기술은 PCle카드슬롯, M.2, U.2 등 여러 폼 팩터에서 이용 가능

SATA 인터페이스와 통신 프로토콜의 여러 병목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

 

SCSI

컴퓨터에서 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직렬 표준 인터페이스로 입출력 버스를 접속하는데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인 요구사항과 모든 주변기기 장치를 중심으로 명령어 집합에 대한 규격

- CPU부하를 줄여줌

- 카드하나로 여러 장치를 지원 : 하나의 슬롯만 차지하면서 8개의 ID를 지원하므로 7개의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 외장형을 지원 : 내장 회장형을 모두 지원하므로 장비 장착 및 분리 쉽다.

- 다양한 주변장치 지원

- 멀티태스킹 적합

- 장치간 충돌없음

작은 파일을 주고 받을 때는 SCSI방식의 컨트롤러는 비효율적이다. (동영상 파일과 같이 큰 용량의 파일이나 안정성이 필요한 작업을 할 때 효율적)

 

ULTRA WIDE SCSI, ULTRA SCSI, SCSI2, WIDE SCSI, 등

 

SATA

병렬 ATA 기술에 대한 향상된 기술로서 도입

SSD, HDD, ODD등을 메인보드에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수많은 핀이 접점이 되던 병렬 ATA방식에 비해 7개로 줄어들었으며, 케이블 연결부 규격도 5CM-> 8mm로 줄었기 때문에 내부공간확보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SATA 1.0, 2.0, 3.0 mSATA, eSATA 등이 있다.

 

3. sudo vs su -, $ vs #, root vs admin vs user  차이 비교 분석

sudo vs su -

sudo(Super User DO)

- 명령어를 다른 유저로 실행한다.

- 현재 계정에서 단순하게 root의 권한만을 빌리는것

- 하나의 명령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root 권한을 사용

- 실행하기 전에 현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su- (Switch User)

-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 하지 않고 다른계정으로 전환

-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su는 계정 전환하기 위함, sudo는 권한을 빌려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함

4. wheel 그룹에 관한 정리

관리자 권한을 대행하는 그룹

wheel 그룹에 추가 된 사용자외에는 su나 sudo 명령어 접근을 제한 시켜 시스템 보안을 높일 수 있다.

-G 옵션을 통해서 wheel 그룹에 생성한 test 계정을 추가한다.

auth required pam_wheel.so use_uid

위의 명령어를 사용함으로써, wheel 그룹에 없는 계정으로는 su 명령어를 쓰지 못하게 하여 일반 유저들이 su명령어를 쓰지 못하게 한다.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 운영 따라잡기 6주차  (0) 2021.11.29
Infra 운영 따라잡기 4주차  (0) 2021.11.07
Infra 운영 따라잡기 3주차  (0) 2021.11.01
Infra 운영 따라잡기 2주차  (0) 2021.10.25